현무 4-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무 4-4는 대한민국이 개발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다. 2020년 12월 지상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2021년 7월 수중 시험 발사에도 성공했다. 2021년 9월 15일에는 도산안창호함에서 콜드 런치 방식으로 최종 수중 사출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현무 4-4 개발은 북한의 SLBM 개발에 대응하여 국산 SLBM 확보를 목표로 이루어졌으며, 사거리 2,000km 이상으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까지 타격 가능하며, 핵공유 협정을 통해 핵탄두 탑재 가능성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킬 체인
킬 체인은 적의 공격 징후를 탐지하여 선제타격하는 전략 개념으로, 군사적 목적과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서로 다른 모델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적 모델은 탐지, 식별, 결심, 타격 단계를 거쳐 목표를 무력화하고, 컴퓨터 보안 모델은 사이버 공격 단계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한국형 수직발사장치
한국형 수직발사장치(KVLS)는 대한민국 함선 및 잠수함에 탑재되는 수직 발사 시스템으로, 미국의 Mk.41 VLS와 유사한 핫 론칭 방식을 사용하며,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천왕봉급 상륙함,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등에 탑재된다.
현무 4-4 | |
---|---|
무기 정보 | |
이름 | 현무 4-4 |
종류 | 잠수함발사 탄도유도탄(SLBM) |
제작자 | 국방과학연구소 |
개발 | 한화 등 |
첫 발사 | 2021년 9월 15일 |
이전 모델 | 현무3 |
엔진 및 추진 | |
추진 | 1단 고체연료 |
제원 | |
탄두 및 유도 | |
발사대 및 위력 | |
발사대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기타 |
2. 역사
2015년 북한이 북극성 1호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개발하자, 한국군은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량하여 국산 SLBM 확보에 나섰다.[1] 북한은 북극성 1호를 시작으로, 북극성 2호, 북극성 3호, 북극성 4호, 북극성 5호를 순차적으로 개발하거나 개발 중에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현무 4-4는 2020년 12월 지상 시험발사에 성공했고,[1] 2021년 7월에는 수중 바지선에서 콜드 런치 방식으로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했다.[1] 2021년 9월 2일, 군 당국은 충남 태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 앞바다에서 도산안창호함을 이용해 콜드론치 방식으로 SLBM 시험 발사를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중국 정보함이 관련 정보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
2021년 9월 15일, ADD 종합시험장에서 진행된 잠수함 수중 발사시험에서 현무 4-4는 성공을 거두었다.[3] 이로써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SLBM 보유국이 되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을 제외하면 인도에 이어 두 번째이다.
2. 1. 개발 배경
2015년 북한이 북극성 1호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개발하자, 한국군은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량하여 국산 SLBM 확보에 나섰다.[1] 북한은 북극성 1호를 시작으로, 북극성 2호, 북극성 3호, 북극성 4호, 북극성 5호를 순차적으로 개발하거나 개발 중에 있었다.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현무 4-4는 2020년 12월 지상 시험발사에 성공했고,[1] 2021년 7월에는 수중 바지선에서 콜드 런치 방식으로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했다.[1] 2021년 9월 2일, 군 당국은 충남 태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 앞바다에서 도산안창호함을 이용해 콜드론치 방식으로 SLBM 시험 발사를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중국 정보함이 관련 정보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
2021년 9월 15일, ADD 종합시험장에서 진행된 잠수함 수중 발사시험에서 현무 4-4는 성공을 거두었다.[3] 이로써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SLBM 보유국이 되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을 제외하면 인도에 이어 두 번째이다.
2. 2. 개발 과정
2015년 북한이 북극성 1호 SLBM을 개발하자, 한국군은 사거리 500km인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조해 국산 SLBM 확보에 나섰다. 2020년 12월, 현무 4-4 SLBM의 지상 시험발사에 성공했다.2021년 7월, 현무 4-4 SLBM의 수중 바지선 콜드 런치 발사시험에 성공했다.[1] 이후 수중 잠수함 발사시험이 남아 있었다.
2021년 9월 2일, 군 당국이 충남 태안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 앞바다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 발사할 때 중국의 정보함이 관련 정보를 탐지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날 SLBM의 시험 발사는 지난달 13일 취역한 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에서 콜드론치(cold launch) 방식으로 이루어졌다.[2]
2021년 9월 7일, 군 소식통은 "국산 SLBM 비공개 시험발사가 14일 혹은 15일에 실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태풍 '꼰선', '찬투'가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따라 일정이 조정될 여지도 있었다.
같은 날, 일본 영자지 재팬타임스는 '한국이 탄도미사일 수중 발사 시험으로 '엘리트 클럽'(elite club)에 합류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이 해당 기술 보유와 관련해 기존 7개국과 함께하게 됐다는 의미"라고 보도했다.
2021년 9월 15일, ADD의 종합시험장에서 진행된 도산안창호함에서의 잠수함 수중 발사시험에서 성공했다.[3] 북한은 잠수함에서 SLBM 발사를 성공시키지 못했기에, 한국이 세계 7번째 SLBM 잠수함 발사 성공 국가가 되었다.
2. 3. 시험 발사 과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사출시험은 수직발사관에서 콜드 런치 방식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는 기술이 성공적인가를 시험하는 것으로, 3단계 시험을 거친다.[4]단계 | 내용 |
---|---|
1단계 | 지상 사출시험 |
2단계 | 수중 바지선 사출시험 |
3단계 | 수중 잠수함 사출시험 |
현무 4-4는 도산안창호함에서 발사되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이다.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수중 발사 능력을 갖추기 위해 개량되었다.
2021년 3월, 대한민국 국군 당국은 지상에 대형 수조를 설치, 수중 바지선에서 사출시험하는 것과 비슷한 형태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5]
2021년 9월 15일, 도산안창호함(SS-083)에서 마지막 단계인 실제 잠수함에서의 수중사출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도산안창호함은 SLBM 발사관인 콜드 런치 방식 수직 발사대를 갖추고 있다.
3. 기술적 특징
미사일의 외형은 현무-2와 유사하며, 날개가 있고 탄두부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이다. 이는 현무-2 뒷부분에 수중 사출을 위한 고체 연료 부스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량되었음을 시사한다.
3. 1. 사거리 및 탄두
도산안창호함에서 발사된 SLBM은 사거리 500km인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량한 것으로 추정된다.[6] 현무-2B는 길이 약 12m, 직경 90cm, 발사 중량 5.4톤이며,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2단 로켓 추진체를 가지고 있다. 탄두 중량은 약 1톤으로 추정된다.[6]
2021년 9월 15일 최초 시험 발사에서 SLBM은 안흥종합시험장 앞바다에서 발사되어 약 400km를 비행, 제주도 서쪽 50km 부근 우리 영해 안에 탄착했다.[7] 군 소식통은 SLBM이 전략 무기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사거리를 800km까지 늘리고 탄두 위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8]
최초 시험 발사된 SLBM은 1단 추진체로 추정되어, 로켓 엔진 추력 등 성능 개량 가능성이 제기된다.[9] 공개된 영상에 따르면, 미사일 외형은 현무-2와 거의 유사하며, 날개가 존재하고 탄두부로 가면서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이다. 이는 대대적인 개량보다는 현무-2 뒷부분에 수중 사출을 위한 고체 연료 부스터를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3. 2. 북한 SLBM과의 비교
북한은 폴라리스 미사일을 모방하여 북극성 1호를 개발했다. 폴라리스 미사일은 세계 최초의 SLBM으로, 미국 잠수함에 탑재되었다. 폴라리스 미사일의 종류와 성능은 다음과 같다.
종류 | 사거리 | 탄두 |
---|---|---|
폴라리스 A-1 | 1,853 km | 600 kt W47 수소폭탄 1발 |
폴라리스 A-2 | 2,800 km | 600 kt W47 수소폭탄 1발 |
폴라리스 A-3 | 4,630 km | 200 kt 수소폭탄 3발 |
북한이 미국의 폴라리스와 같은 이름인 북극성을 개발 중이므로, 사거리는 최대 4,630km까지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SLBM은 북한의 북극성에 상응하는 수준을 목표로 개발될 것이 예상되므로, 한국 SLBM 역시 사거리 4,630km까지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군이 2022년에 최초 배치할 SLBM의 사거리가 3,000km일 수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W47 열핵탄두는 무게 300kg, 폭발력 600kt인 수소폭탄인데, W47-2는 무게 300kg, 폭발력 1.2Mt이다. 무게는 같지만, 폭발력은 2배 향상되었다. 보통 1Mt 수소폭탄 한 발이면 서울시 천만 명이 전멸한다고 알려져 있다.
4. 전략적 함의
현무 4-4는 한국의 전략적 억제력을 강화하는 핵심 전력으로 평가받는다. SLBM 잠수함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세계 7번째 SLBM 보유국이 되었으며,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을 제외하면 인도에 이어 두 번째로 SLBM 잠수함 발사에 성공한 국가가 되었다.[3] 이는 군사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상징한다.
재팬타임스는 2021년 9월 7일 기사에서 한국의 SLBM 시험 발사 성공을 "엘리트 클럽" 합류로 평가하며,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이 해당 기술 보유와 관련해 기존 7개국과 함께하게 됐다는 의미"라고 보도했다. 해당 매체는 SLBM 기술 보유 7개국이 모두 핵무기 보유국임을 강조하며,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인도, 영국, 북한은 SLBM에 핵탄두를 장착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3]
해리 해리스 전 주한 미국대사는 한국군의 SLBM 잠수함 탑재 수중 시험 발사 성공에 대해 "놀라운 성과"라며 "한국은 미국의 더 강력한 동맹국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10] 미국은 한국의 제1격(ICBM) 핵무장은 반대하지만, 제2격(SLBM) 핵무장은 동의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4. 1. 핵공유 문제
한국은 SLBM에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있지만, 제2격 능력 확보를 위해서는 핵탄두 탑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비핵화 국가가 SLBM에 핵탄두를 탑재하는 방법은 역사적으로 핵공유 협정이 유일했다.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준수하기 위해, SLBM에 탑재할 미국의 핵탄두는 미국령 괌에서 장착 및 정비해야 한다.핵공유 협정을 통한 SLBM 배치는 SLBM 발사에 대한 평시작전권과 전시작전권을 한국군에 귀속시킨다. 러시아의 SLBM 발사 절차를 참고하면, 함대 본부로부터 SLBM 발사 암호를 받아 함장이 확인 후 발사하는 방식인데, 한국군과 미군이 각각 발사 암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핵공유를 통한 SLBM 발사가 가능하다.
SLBM 핵무장은 미국이 남북 핵전쟁에 자동 개입하는 부담을 줄이면서도, 한국을 비핵화 체제에 묶어두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4. 2. 미국의 입장
해리 해리스 전 주한 미국대사는 한국군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잠수함 탑재 수중 시험 발사 성공에 대해 "놀라운 성과"라며 "한국은 미국의 더 강력한 동맹국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 해군의 이 놀라운 성과에 대해 축하한다"며 "이를 통해 한국은 더 강력하고 역량 있는 미국의 동맹 상대국(alliance partner)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10]미국은 한국이 ICBM이라는 제1격의 핵무장을 하는 것은 반대하지만, SLBM으로 상징되는 제2격의 핵무장은 동의하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과거 이탈리아가 미국제 SLBM을 수입해 잠수함에 장착했다가 비핵화를 한 적이 있으며, 현재 영국 해군은 미국제 SLBM을 수입해 잠수함에 장착, 사용 중이다.
4. 3. 국제적 위상
대한민국은 SLBM 잠수함 발사 성공 국가로, 세계에서 7번째이자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을 제외하면 인도에 이어 2번째이다.[3] SLBM은 잠수함, 경수로, 미사일, 핵무기 기술 등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 전략 무기 체계로, SLBM 개발 및 운용은 군사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상징한다.재팬타임스는 2021년 9월 7일 '한국이 탄도미사일 수중 발사 시험으로 '엘리트 클럽'(elite club)에 합류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이 해당 기술 보유와 관련해 기존 7개국과 함께하게 됐다는 의미"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나머지 7개국은 '모두 핵무기 보유국'이라고 강조하면서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인도, 영국, 북한은 SLBM에 핵탄두를 장착하거나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했다.[3]
서균렬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핵탄두와 재래식 탄두의 에너지 차이가 300만 배라고 설명했다.[11]
5. 향후 전망
대한민국 해군은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3척, 3600t급 잠수함 3척, 4000t급 이상 잠수함 3척 등 SLBM 탑재 잠수함 전력 증강 계획을 가지고 있다. SLBM 기술 고도화 및 성능 개량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가 예상된다. 핵공유 협정 체결 여부 및 핵탄두 탑재 문제는 국제 정세 및 안보 환경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SLBM 전력 강화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군사력 균형 및 국제 안보 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4][5]
참조
[1]
뉴스
軍, SLBM 수중 발사 성공...세계 8번째 SLBM 개발국
YTN
2021-07-04
[2]
뉴스
韓 첫 SLBM 시험발사때 中 '스파이함' 출몰해 엿봤다
중앙일보
2021-09-07
[3]
뉴스
독자개발 SLBM 잠수함 발사시험 성공…세계 7번째
YTN
2021-09-15
[4]
뉴스
SLBM 쏠 수 있는 잠수함 보유국 됐다
조선일보
2018-09-15
[5]
뉴스
우리군도 SLBM 만들었다...최종 수중 발사시험 남아
조선일보
2021-01-13
[6]
뉴스
韓 독자 개발한 SLBM 잠수함 수중 발사 성공..세계 7번째
뉴스1
2021-09-16
[7]
뉴스
한국, SLBM 잠수함 발사 세계 7번째 성공…장거리 공대지, 초음속 순항미사일도 선보여
중앙일보
2021-09-16
[8]
뉴스
북은 핵탑재 SLBM 개발한다는데···韓 "올해 수중 실험"
서울경제
2021-01-13
[9]
뉴스
韓 독자개발한 SLBM '사거리 500㎞' 추정…재래식·사거리는 '한계'
뉴스1
2021-09-15
[10]
뉴스
해리스 전 대사 “SLBM 개발 한국, 더 강력한 동맹국 될 것”
중앙일보
2021-09-08
[11]
뉴스
'팥소 없는 팥빵'...핵탄두 없는 SLBM, 실효성은?
YTN
2021-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